컴퓨터는 우리 일상속 아주 밀접하게 관련된 하드웨어 중 하나다. 요즘은 스마트폰이 그 자리를 따라가고 있다고 하더라도, 아직까지 업무, 취미, 게임 등 우리의 삶에 가장 크게 연관되어있고, 가장 많은 시간 사용하는 하드웨어일것이다.
하지만 이것을 사용할 때,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들에게는, 키보드를 사용하거나 마우스를 사용하는 데에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눈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장애인들이 이용할 수 있는 여러 편의장비들이 있는데, 오늘은 우주기술에서 파생된 비전키보드에 대해 알아보자.
비전키는 우주기술에서 파생되었다. 별추적카메라가 별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하는 원리를 활용하여, 눈이 가리키는 방향을 정확하게 읽어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기술을 활용해, 캐나다의 아이캔 사에서 캐발한 비전 키라는 제품을 개발했는데, 비전키는 안경에 장착할 수 있게끔 제품을 소형화한 것이 특징이다. 안경에 작은 추적장치를 부착해 화면에 보여지는 철자중 하나를 바라보면 바라본 위치에 있던 차트에 존재하는 좌표값을 얻어내 해당하는 알파벳을 입력하게 된다.
수많은 장애인들이 이 기술의 혜택을 보고 있다. 인류의 복지도, 우주의 개발을 통해 더욱 더 발전하고, 서로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는 캠브리지대학에서 현재의 비전 키보드보다, 두배나 효율적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눈으로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 장치의 이름은 '대셔' 이다. 아직까지는 시험판으로 운용되고 있지만, 자연스러운 시각정보를 포착하여 단어나 어구를 보다 쉽게 입력할 수 있게 지원한다.
마치 눈으로만 운전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한다. 자동차를 운전하기위해, 자신이 가고자하는 곳을 쳐다보는것처럼, 자신이 필요한 글자를 찾아 원하는 장소로 눈으로 끌어오기만 하면 된다고 한다.
그리고 각각의 알파벳에서 파생되는 단어나 자주 사용되는 단어들을 알파벳을 입력할때마다 자동으로 나열해주어, 보다 편리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다.
게다가 대셔는 스스로 습득하는 ai기술이 접목되었기에, 사용자가 사용했던 모든 입력 문자나 단어, 그리고 기본적으로 탑재되어있는 문서나 데이터를 통해 더더욱 입력속도가 빨라질 수 있게 한다.
대셔는 모든 언어권에서 사용할 수 있게 개발이 가능하며, 현재 시험판으로 누구나 이용할 수 있으며, 전 인류를 위해 언젠가 오픈소스로 공개되어 그 소프트웨어의 발전 속도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을 기대한다.
옵티 키는 현재 한국에서도 사용하는 기술이다. 키보드와 마우스를 눈의 시선으로 조작하는 데, 대셔보다 속도는 덜하지만 확실한 직관력과 한글화로 고령의 사용자도 충분히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그런 기술이다.
장점으로는 단어와 단어 사이에 자동으로 공백이 생겨, 사용자는 단어만 입력하는 데에 집중하면 되게끔 개발되었으며,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비교적 쉬운 사용에 있다.
물론 음성인식기술이 발달하여 눈으로 보는 기술의 이용자수는 떨어지겠지만, 여전히 개발을 활발히 하고있는 분야중에 하나이다.
언젠가 눈으로 사용하는 키보드나 마우스의 기술이 발전한다면, 장애가 없는 사람들도 지금쓰는 키보드나 마우스보다 훨씬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게될지도 모른다.
오늘은 우주기술로인해 파생된, 눈 추적 카메라 기술을 활용한 인식기술들을 알아보았다. 과학기술에 대해 알면 알수록 점점 더흥미로워지는것 같다. 그리고 결국엔, 약자를 위해 만든 기술도, 약자가 아닌 사람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누군가를 도울 요량으로 개발한 기술이, 나를 도와주는 기술이 될 수 있다. 때문에 우리는 누군가를 돕기 위해 행동해야한다는 이치를 보여주는 것 같다.
언젠가 과학기술이 혁신적으로 발전하는 그 날이 오면, 우리는 어떻게 살고 있을까. 새삼 더더욱 궁금해진다. 상상력의 나래를 펼치게 된다. 모든 개발이나 발전은 상상력에서 나온다고한다. 우주에 비하면 지구는 정말 작고 보잘 것 없어보이고, 우주에 비하면 나라는 존재는 정말 작아보이지만, 그 작은 인류 한명 한명이 모여 어마어마한 결과들을 내는것을 볼 때, 하루하루를 감사히 여기고 더 열심히 살게 되는 것 같다.
별추적 카메라, 인공위성의 핵심부품 (0) | 2020.12.24 |
---|---|
형상기억합금의 활용 (0) | 2020.12.24 |
우주에서 우리의 신체는 어떻게 될까? (0) | 2020.12.24 |
우주 공간의 특성은? (0) | 2020.12.24 |
인공위성의 궤도와 속도 (0) | 2020.12.24 |